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UpstageAILab
- 패스트캠퍼스업스테이지부트캠프
- 오블완
- 패스트캠퍼스AI부트캠프
- 국비지원
- UpstageAILab#국비지원
- 패스트캠퍼스업스테이지에이아이랩
- 패스트캠퍼스
- 티스토리챌린지
- 업스테이지패스트캠퍼스
- Today
- Total
김민주
[6주차] 네트워크 심화 실습 본문
[복습]
5주차 - 네트워크 실습(포트 스캔) / TCP, UDP 특징
왼쪽: 정상행위. 비정상행위일 때 탐지와 차단하는 것 중요
(정상 행위를 눈에 익혀야 비정상도 잘 알아볼 수 있음)
포트 스캔: 한 아파트의 도로명 주소로 접근해서 그 아파트 가구(초인종) 노크 통해 사람 유무 확인함.
- nmap: 칼리 입장에서 주분투에 어떤 서비스가 있는건지 노크하는 것과 유사
와이어샤크로 정보 확인 및 포트 여닫힐 때의 행위 확인 (21, 22, 23, 80 포트 열려있는 것 확인함) - TCP 정상적인 방식 진행됨
ftp는 정상행위(3way handshake) 사용하고 있는데 처음 연결할 때 신호를 보내게 되는데, 마지막 ack 행위가 서버에 전달되면 서버는 연결됐다는 로그 값 기록하게 됨. ack 메시지를 공격자(client)가 안 보내면 기록되지 않을 수 있음. 이 행위가 stealth.
3번 메시지가 ack가 아닌 rst
지난 시간엔 -sT를 썼는데 이번엔 -sS 사용
- 주분투: 와이어샤크 실행 - sudo wireshark
- 칼리: sudo nmap -sS 192.168.100.20 -p 1-65535
UDP는 응답 없는 게 정상 / 비정상일 경우 ICMP Unreachable 메시지 발송
TCP는 연결 안 되면 TCP 패킷 보내게 되는데, UDP는 UDP 패킷을 보내는 게 아닌 Unreachable 패킷 보냄
이유는 TCP 헤더 구조보단 UDP 헤더 구조가 더 간단했는데, 교수님께서는 아마 UDP에서 응답 없음에 대해 방법이 없을 거라고 생각하심. (애초에 설계부터 UDP는 보내고 마는 거라 따로 structure 잡아서 안 만들었을 것)
정상적일 때는 보내고 아무 응답이 없음. 포트 닫혀있는 것들에 대해서는 icmp unreachable 메시지 옴
- nmap 활용 시 UDP는 -sU. 마지막 1-100만 > sudo nmap -sU 192.168.100.20 -p 1-100
- 와이어샤크 결과 - tcp 무시, udp와 icmp 관련 흐름 보기
- 검색 - udp.stream: dns 무시.
내기준 3번째라 eq 3 붙여서 검색
20 → 128 udp로, 128 → 20 icmp로 보낸 것 확인
- 검색 - udp.port == 25
하단상세정보: 포트 정보 없음. 이게 좀 특이.
[이론 - ftp]
ftp: 파일 전송하는 하나의 프로토콜
ex) ppt 만들어서 업로드 했을 경우: 원드라이브로 올리면 웹 창에서 확인 가능함. 반면 ftp 서버에 올려놓으면 글자 하나 수정하려면 올라가있는 파일 다운받고 수정 후 다시 올려야함. 그리고 사람들에게 알려야함 > 복잡 & 보안 상 취약
지난주 nmap을 통해 4개 서비스 올라가있는 거 확인했는데, http는 외부 접속이니까 빼고 ftp, ssh, telnet 어떻게 쓸 것이냐에 대해 배울 것(이 방법은 기본적으로 알고 있어야 함)
[실습 - kali에서 주분투로 ftp 이용해 접속]
vsftpd: 프로그램 이름. 리눅스에서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ftp 이름
칼리 파일을 주분투로 보내는 게 1번 - 업로드
주분투 파일을 가져오는 게 2번 - 다운로드
주분투 = ftp 서버
* vi 사용법
- a
- 학번 입력
- esc
- : (클론)
- wq(write 후 quit)
- 바탕화면에 파일 생성 확인
바탕화면 파일을 주분투(서버)에 업로드
- cd ~/Desktop: 서버 경로 변
- ls
- put security.txt
* 서버 데스크탑에다 경로 바꿔주는 것 = 서버의 경로를 바꿔주는 것.
1번(업로드)
- 주분투 바탕화면에 해당 파일이 생성되어 있는 것 확인
2번(다운로드)
- 주분투에서 vim security1.txt 만들고
- 칼리에서 ls로 만들어진 것 확인
- get security1.txt 명령어로 주분투 txt 파일 받아오기
'학부 > 침입탐지와차단시스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10주차] Snort 설치와 설정 (0) | 2023.05.16 |
---|---|
[9주차] iptables (0) | 2023.05.02 |
[7주차] iptables (0) | 2023.04.18 |
[5주차] TCP, UDP (0) | 2023.04.03 |
[4주차] 네트워크 구성 (2) | 2023.03.27 |